본문 바로가기
IT마케팅/블로그운영

네이버 일상 블로그에 대한 정보와 운영일지(2022-10-02)

by 우동이 2022. 10. 2.
300x250

네이버 블로그 메인

 

2020년 8월부터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했습니다.

그 전에도 네이버 블로그를 했었는데 한번 초기화를 하고 다시 만들었는데

그때는 조회수도 참 잘 나오고 그랬는데 아쉽습니다,,

 

아무튼 현재 약 2년 2개월을 운영했는데 아무래도 티스토리 블로그에 비해 

꾸준히 운영하거나 신경을 많이 쓰지는 않았습니다.

블로그 한개가 아닌 여러 개를 운영한다는 것 자체가 힘에 부치는 일인 데다가

블로그가 시간 투자 대비 아웃풋이 좋은 것도 아니라서요

 


1. 블로그 운영 주제

블로그 주제

 

블로그 주제는 최대한 일상에 가까운 주제만을 골랐습니다.

여타 블로그들과 동일하게 맛집이나 제품 리뷰

또 여행에 대한 여행 일기와 제 개인적인 취미인 독후감도 넣었습니다.

 

원래 독후감 관련 글은 티스토리에 올렸습니다만 게시글 30개당 조회수 100도 안 나오는 처참한 결과를 보여주더라고요

아무래도 책 검색에 대한 유입률은 구글보다는 네이버가 압도적일 듯해서 전부 옮겼습니다.

 


2. 월평균 조회수 추이

2022 09 ~ 2021 - 09 월평균 조회수

현재 월평균 조회수는 3,000 단위로 나옵니다.

아무래도 네이버 블로그와 티스토리 블로그는 조회수의 무게감이 다르기에 

네이버 블로그에서 월평균 3,000이면 하루 평균 100 정도밖에는 안 나온다는 의미입니다.

확실히 꾸준히 포스팅을 한 것도 아니고 

꾸준히 포스팅하기 시작한 것도 22년도 8월부터 했기 때문에 성장세가 낮습니다.

 


3. 포스팅 사용시간

포스팅 사용시간 평균

 

이 사용시간 수치는 해당 포스팅을 몇 분간 이용했는지에 대한 평균값입니다.

 

평균으로 2분 정도 나오는 것 같은데 티스토리 블로그가 사용시간 1분 남짓 나오는 거에 비해 높긴 하네요

이 지표는 블로그의 품질을 결정짓는 데에 중요한 요소중 하나입니다.

 

네이버 측에서 양질의 포스팅을 블로그 품질의 가장 높은 결정요소로 우선순위를 두기 때문에 중요할 수밖에 없죠

지금까지 경험해본 바로는 연령대가 높은 독자 대상 글을 작성하거나

순 가십거리의 주제로 긴 글을 작성하는 것이 사용시간을 늘리는 데에 도움이 된다고 느꼈습니다.

 


4. 이웃의 중요성

블로그 이웃

 

네이버 블로그에 대한 내용을 이야기하면서 이 이웃에 대한 내용을 다루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그만큼 아주 중요한 지표라는 것인데 

네이버에 존재하는 [공감]이라는 시스템이 크롤링 봇이 블로그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에 있어서도

고려되는 사항이긴 하지만 독자 입장에서 블로그를 평가할 수도 있는 수단이라는 점이 중요합니다.

 

그러니 결국 블로그 이웃들을 늘려 꾸준한 이웃 간 친목을 통해 공감을 얻어낼 수밖에 없는 구조가

강제된다는 점입니다.

 

 

게시글 사용시간 추이

이 지표는 위에서 보여드린 게시글 사용시간 추이입니다.

이웃 관계의 다른 블로거들에게서 유입되는 게시글 사용시간의 비중이 있습니다.

 

즉 타 블로거들이 내 게시글을 볼 수 있도록 끊임없이 공감과 방문을 나눠야 합니다.

 

위 수치와 동일하게 조회수나 광고 클릭의 횟수 또한 서로 이웃 관계의 블로거들에게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에

조회수나 블로그 품질 그리고 광고 수익까지 전부 이 이웃 관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입니다.

 

이웃 관리의 애로사항이야 여타 SNS가 비슷하겠지만 뭐 공감이 제대로 돌아오지 않는 얌체 같은 경우도 있고

들이는 시간 대비 투자에 비해 효율이 좋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이러한 이웃 관리까지 해야 하는 네이버 블로그는 맞지 않는 사람이 한다면 아무래도 피로도가 높을 수밖에 없습니다. 

 

 


5. Creator Advisor 제공 지표

Creator Advisor 지표

 

네이버에 새로 생긴 기능 중 하나인 [크리에이터 어드바이저]입니다.

해당 탭에서는 블로그의 주요 지표 4가지를 제공하는데 타 블로그 평균값이랑 같이 제공해서

꽤나 편리한 가독성을 띕니다.

 

그중 가장 중요한 조회수, 방문자수에 대해 살펴보면 

그래도 제 블로그는 평균 수치를 넘기는 했네요

 

 

게시글 평균 사용 시간수치

위에서 소개드린 게시글 사용시간의 도합 평균 수치입니다.

단위는 초로 제 블로그에서는 대략 1분 41초가 평균 사용 시간이네요

서비스 전체 평균인 2분 27초(147초)에 비하면 많이 모자라는 편입니다.

 


6. 네이버 애드포스트 수익

네이버 애드포스트 월별 수익 추이

 

다음은 가장 궁금할 수익입니다.

제 블로그에서는 체험단이나 유료 리뷰 그 외 쿠팡 파트너스는 일절 사용하지 않아

해당 서비스에 대한 수익에 대해서는 알려드릴 수 없습니다만

현재 애드포스트를 통해 광고가 달려있는 상태입니다.

 

네이버 애드포스트의 심사 통과 난이도는 어려운 편은 아닙니다.

애드포스트 가이드라인에 어느 정도 맞추기만 하면 쉽게 승인되는 편입니다.

 

제 경우는 8-9월부터 네이버 블로그에 꾸준히 제대로 포스팅을 했더니

8배가량 광고수익이 상승했습니다.(약 3,405원)

 

5만 원 단위부터 현금으로 전환이 가능한 애드포스트 특성상 

5만원 이전의 금액은 전부 네이버 페이 포인트로 전환됩니다.

 

그리고 네이버 블로그의 광고 수익은 대부분 클릭수에서 발생합니다.

 

네이버 애드포스트 광고 클릭수 지표

 

위 광고수익 그래프와 클릭수는 비례하는 지표입니다.

대부분 유의미한 광고수익은 광고의 클릭에서 클릭 후 광고 제품 구매로 단가가 높아집니다.

 


 

이미 티스토리 블로그가 있음에도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다른 주제의 글로 다른 방향성의 블로그 작성 가능
  • 네이버를 통한 검색 유입과 애드포스트 수익
  • 체험단이나 협찬 등의 추가 수익 발생 가능성이 티스토리 블로그보다 높음
  • 개인이나 단체단위의 사업체 홍보 목적
  • 그 외 마케팅 목적

 

애드포스트가 수익이 좋지 않다는 풍문이 있었는데 이것도 옛날 말이라 요즘은 또 괜찮습니다.

거기다 체험단이나 협찬 목적의 글은 대부분 네이버로 유입이 되기 때문에 네이버라는 검색 플랫폼을 포기할 수가 없습니다.

게다가 티스토리나 구글의 사용 목적과 연령대가 네이버와는 상이하게 달라 다른 종류의 유입자들을 끌어들이기에 좋습니다.

사업체의 홍보 목적이라 하면 이 또한 네이버의 사용자층을 무시할 수 없는 노릇입니다.

 

이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300x25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