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80 군대에서 웹 사이트 만들기#1 - Flask, 구름 IDE 구름 IDE 환경(Linux) 군대 사지방에서 통합개발환경 구축(하모니카,구름IDE) 군대 사지방에서는 코딩이 힘들다.. 최근 군에서는 기존의 Windows 운영체제를 국내에서 제조된 하모니카라는 리눅스 기반의 OS로 대체중이다. 군대 와서 처음 접한 이 하모니카 운영체제는 더 빠 hobbylists.tistory.com Visual Studio Code(window) [Flask] Flask로 웹 페이지 제작하기 - 1 기초적인 설정과 사용법, Visual Studio Code와 Flask 설치법 // 개 Flask 란? Python으로 제작된 웹 프레임워크 Flask는 웹 개발에 특화된 프레임워크 이며 가볍고 다양한 엔진을 사용한 개발이 가능하다 주로 웹 개발에서는 Django(Python의 또다른 .. 2021. 1. 16. 구름 IDE 에서 Python 버전 변경 구름 IDE 그리고 Python을 사용하고 있는 현재 컨테이너로 들어온다. 좌측 상단을 보면 [프로젝트] 항목에 [빌드/실행 설정] 이 보인다. 들어가서 python 컴파일러 부분을 클릭하면 python 3과 2버전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python3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나는 python3 버전으로 해놨다. 구름IDE 자체적으로 Python의 버전을 변경할 수도 있지만 가상환경을 virtualenv(가상환경 모듈) venv 를 사용해서 변경할수도 있다. python -V #python version 확인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파이썬의 현재 사용버전을 알 수 있다. 2021. 1. 16. 반복문을 이용한 특수문자 출력 기호를 이용해 출력을 할텐데 반복문을 사용해서 해보도록 하겠다. +와-를 번갈아가며 출력하는 코드를 짤텐데 +와 - 를 번갈아가며 출력 # +와 -를 번갈아가며 n 회 출력 n = int(input("몇 개를 출력할지 입력 >> ")) for i in range(n): if i%2: #짝수일때는 - 가 출력 print('-',end='') else: # 홀수일때는 + 가 출력 print('+',end='') print() # 문제점1 : for 반복시마다 if문 수행 # 문제점2 : 상황에 따른 유연한 수정 불가능 출력은 잘 되고 기초적인 언어를 배울때에는 이렇게 for 문을 통해 바로 조건문으로 +와 -를 구분하는게 맞지만 이렇게 하면 두가지의 문제점이 생긴다. for문이 반복시마다 if 와 else .. 2021. 1. 4. a 부터 b 까지의 합 - Python Algorithm loop_basic 코딩 언어의 기초나 알고리즘의 기초를 배우게 된다면 a부터 b까지의 단순 합을 구하는 논리문제는 자주 접하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파이썬을 통해 a부터 b까지의 합을 구하는 기초 알고리즘을 알아보겠습니다. a,b = input("a와 b의 값을 입력하시오 >> (구분:공백)").split() a와 b 두 값을 input()을 통해 입력받고 split()을 통해 분할해 각각 a, b에 값을 넣어줍니다. 즉 한줄로 두 개의 값을 받았습니다. 다만 이렇게 값을 입력받으면 a, b는 정수형이 아닌 문자형으로 저장됩니다. 그러므로 a,b 두 변수의 값을 정수형으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별도로 형 변환이 필요합니다. ▶split()에 대해 잘 모른다면 아래를 참고! [Python] - 문자열을 더 편리하게 관리하는 .. 2021. 1. 3. n까지의 합 - Python Algorithm loop_basic [Python] - 제어문 - if,while,for 반복문과 조건문 코딩을 할때 여러 기능을 제어하는 함수들을 제어문이라 하며 제어문 중에서는 반복문과 조건문이 존재한다. 그 중에서도 if는 조건을 설정하는 조건제어문 while과 for문은 반복제어문으로 반복 hobbylists.tistory.com for, while(반복문) 에 대해 모른다면 위 글을 먼저 읽어보고 오는 걸 추천한다. 최근 시작한 알고리즘 공부는 Python을 이용하기에 Python의 문법적 이해가 어느정도 동반되어야 한다. 먼저 while문을 이용한 n까지의 합 예제이다. n까지의 합 (while) print("1부터 n 까지의 정수의 합을 구하시오.") n = int(input("n의 값을 입력하시오 >> ")) # n의 수를 .. 2021. 1. 3. 중간값 구하기 알고리즘 (Python_Algorithm, median) 중간값 구하기 알고리즘을 Python으로 구현해보자 중간값을 구하려면 비교할 수 있는 수가 최소 3가지는 되어야 확인이 가능하다. 그 전에 코드가 난잡해지는걸 방지하기 위해 모듈 하나를 만들어서 쓰도록 하자. Module #input.py def inputvalue3(): print('세 정수의 중앙값.') a = int(input('a의 값을 입력 >>')) b = int(input('b의 값을 입력 >>')) c = int(input('c의 값을 입력 >>')) return a,b,c inputvalue3()는 세 정수의 값을 입력받는 함수고 input.py로 따로 파일을 만들어 모듈화 하였다. 1. 첫번째 중간값 구하기 import time from input import inputvalue3 st.. 2020. 12. 27. 리눅스 환경에서 파이썬 모듈 경로 변경(Ubuntu 18.04 기준) 파이썬이란 언어 자체는 인터프리터식 언어로 매우 가볍습니다. 물론 필수적인 기능은 내장 라이브러리로 갖추어져 있으나 웹, 크롤링등 좋은 성능의 라이브러리는 전부 외장으로 따로 설치 후 사용해야 합니다. 이러한 외장 라이브러리들을 사용하는 방법은 pip(package install for python)를 통해 외부 라이브러리를 설치후 그 라이브러리들을 사용한다고 선언(import) 해주는 것입니다. 파이썬을 사용할 때에 주로 기본 환경에서 사용한다면 설치한 라이브러리들은 자동으로 파이썬 라이브러리 경로에 추가되어 사용이 가능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별도의 설정이 필요합니다. MODULE : sys import sys sys는 python의 내장 모듈이며 시스템(변수&함수)을 직접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 .. 2020. 12. 24. 군대 사지방에서 통합개발환경 구축(하모니카,구름IDE) 군대 사지방(사이버 지식정보방)에서는 코딩이 힘듭니다. 특히나 제한된 환경 덕분에 컴퓨터를 이용해하는 공부는 거의 하지를 못합니다. 특히 최근에 도입된 하모니카 OS는 그 탁상공론식 행정의 끝판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모니카는 리눅스 기반 국내에서 개발된 OS로 군에서 이 OS를 대거 도입하여 기존의 사지방 체제를 전환 중입니다만 군대에 가서 하모니카 OS를 사용해보는 순간 정말 군장병의 인권에 대해 얼마나 관심이 없는지 잘 알 수 있습니다. 제가 직접 써보고 느낀 문제점을 꼽자면 대충 이 정도가 있습니다. 라이브러리 추가 설치 및 다운로드가 불가능 - 자체적으로 막아둡니다. 특히 파이썬과 같이 라이브러리 설치가 필수적인 언어는 pip를 통한 설치도 불가능합니다. OS에는 visual studio co.. 2020. 12. 19. 무신사 홈페이지에서 키워드 수집해오기 (Python_Crawler) BeautifulSoup Crawler(크롤러)란? 크롤러는 땅을 파는 굴삭기를 이르는 명칭으로 최근에는 웹에서 정보를 자동화된 방식으로 수집하는 걸 웹 크롤러라고 부른다. 그렇다면 크롤러란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얻을 수 있는 점이 무엇이 있는가 하면 정보의 홍수와도 같은 웹 상에서 더 많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더 빨리 얻을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주로 크롤러를 사용하는데 이 분야가 적용될 수 있는 범위는 정말로 무궁무진 하다. 크롤러를 제작할 때에는 웹 분야에서 널리 쓰이는 Python 기반으로 만드는데 크롤러 기능을 제공하는 두 개의 모듈을 설치하면 된다. 1.BeautifulSoup HTML&XML 파일 parsing library 하지만 html 코드로 나오기 때문에 추가적인 다듬기 작업이 필요하다. 2.Requests res.. 2020. 12. 19. Python Algorithm 기초 공부1 1. 세 정수의 최댓값 구하기(maximum) #최댓값 구하는 알고리즘 print('세 정수의 최대값을 구한다') a=int(input('정수 a의 값을 입력하세요 : ')) b=int(input('정수 b의 값을 입력하세요 : ')) c=int(input('정수 c의 값을 입력하세요 : ')) maximum=a if b > maximum: maximum = b if c > maximum: maximum = c print('최댓값은 {}입니다.'.format(maximum)) #선택구조 maximum은 최댓값이 담길 변수 두 번의 if문이 b와c 그리고 maximum간의 크기 비교를 수행함. 1-1. 세 정수의 최댓값 구하기(maximum) 실행시간 측정 #최댓값 구하는 알고리즘 import time s.. 2020. 12. 13.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