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Basic3 [Python] 함수와 사용법 많이 쓰이는 언어 C나Java등 기존 프로그래밍 언어는 함수지향적 코딩을 하는데 Python은 interpreter식 그리고 객체지향적 언어이다 역시 함수의 기능도 지원하는데 기존 제작되어 있는 라이브러리와 모듈을 사용하면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는 여러 함수들을 사용할 수 있다. def function_test: #함수의 원형 끝에는 : pass 함수를 생성할 때에는 def라는 예약어와 함께 함수의 이름을 선언해주면 된다 제어문과 마찬가지로 함수의 이름 끝에는 :를 붙여줘야 한다 함수는 수학적 정의의 함수와 다르게 프로그램속 함수는 기능의 집합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우리가 만들 함수들은 전부 각 기능에 걸맞는 이름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내부의 코드들 역시 우리가 원하는 기능과 부합해야만 한다. 예를 .. 2020. 9. 11. [Python] - 예외처리문 try,except,finally try,except문은 예외처리의 기능을 담당한다 try문에 수행할 구문들을 넣어두고 그 외에 발생한 error와 예외경우들은 except문에서 걸러진다. try,except문 구조 try: a=int(input("a의 값을 입력하시오 >> ")) print(a) except: print("다른 값이 입력되었습니다") >>> 3 3 >>> anything 다른 값이 입력되었습니다 위는 try문을 이용해 기본적인 구조를 짜보았다 try문의 수행문은 무조건 실행이 되는데 int형 값을 변수 a에 받아 출력하는 프로그램이다 만약 a에 int형이 아닌 다른 형태의 값이 입력 되면 error가 발생하는데 그 error 발생시 나오는 error message를 except에서 내가 지정해줄 수 있다. 3을 .. 2020. 9. 9. [Python] - 제어문 - if,while,for 반복문과 조건문 코딩을 할때 여러 기능을 제어하는 함수들을 제어문이라 하며 제어문 중에서는 반복문과 조건문이 존재한다. 그 중에서도 if는 조건을 설정하는 조건제어문 while과 for문은 반복제어문으로 반복을 제어한다 if 조건제어문 exercise = True if exercise == True: print('달리기를 하자') elif exercise == False: print('아무것도 안할래') else: print('걷기를 하자') >>> 달리기를 하자 #비교연산자 ''' ab a보다 b가 작을때 a==b a와 b가 같을경우 a!=b a와 b가 같지않을경우 a>=b a가 b보다 크거나 같지않을경우 a 2020. 9. 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