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미리스트23

빠르고 간편한 웹 개발을 위한 Jquery cdn JQuery는 웹 페이지 개발을 빠르고 쉽게 만들어주는 JavaScript기반의 프레임워크이며 우리는 CDN을 제공 받아 제작할 웹 페이지의 html 코드에 삽입 해줌으로써 쉽게 사용가능하다. Jquery서버를 사용하기 때문에 유지보수나 관리적인 측면에서 손쉽고 빠르나 그와 동시에 단점이라고 하자면 jquery서버에 문제나 느려짐이 생기면 역시 내가 제작한 서버도 동일하게 느려진다. 다만 그건 쉽사리 생기는 일은 아니다. https://code.jquery.com/ jQuery CDN The integrity and crossorigin attributes are used for Subresource Integrity (SRI) checking. This allows browsers to ensure t.. 2020. 11. 3.
[Hacking] - 첫 단계 정찰 패시브 스캐닝 정보수집 모의해킹을 위한 첫번째 단계는 정보수집(정찰) 개 중 스캐닝이라는 기술을 통해 해킹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데 스캐닝의 종류는 패시브&액티브 두 가지 스캐닝이 존재한다 패시브(passive, 소극적) 스캐닝 // 이미 알려진 정보를 수집해 사용, 흔적이 남지 않음 액티브(active, 적극적) 스캐닝 // 다양한 스캐닝 툴을 사용 흔적이 남을 수도 있음 이 중 패시브 스캐닝은 공개된 정보들을 사용해 정보를 수집하기 때문에 OSINT(Open Souce Intelligence) 기법으로도 불리움 구글해킹 구글에 검색어를 이용해서 유용한 정보를 수집가능 site:naver.com #site 키워드는 검색되는 사이트를 제한함 site키워드를 사용해서 검색결과의 사이트를 제한해서 검색했다 naver.c.. 2020. 10. 4.
[Python] numpy, random 라이브러리로 로또 번호 생성기 만들기 random(난수 생성 라이브러리) random은 난수 생성 모듈로 내장 라이브러리 중 하나이다 random의 random()은 0이상 1 미만의 수중 랜덤한 값을 return한다. ex) random() >>> random.random() 0.38001436104737807 0이상 1 미만이기 때문에 그 사이의 실수값이 return 되었다. 그러면 로또 번호를 얻기 위해서는 지정된 범위내에서 값을 반환하도록 사용해야 하는데 그 기능을 하는 함수는 따로있다. ex) randrange() >>> random.randrange(0,46) 18 randrange()는 말 그대로 ()내에 범위를 지정해준 후 그 범위내의 값을 반환한다. range()는 범위를 설정하는 함수고 range()에 rand(난수)를 붙.. 2020. 9. 16.
[Python] 함수와 사용법 많이 쓰이는 언어 C나Java등 기존 프로그래밍 언어는 함수지향적 코딩을 하는데 Python은 interpreter식 그리고 객체지향적 언어이다 역시 함수의 기능도 지원하는데 기존 제작되어 있는 라이브러리와 모듈을 사용하면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는 여러 함수들을 사용할 수 있다. def function_test: #함수의 원형 끝에는 : pass 함수를 생성할 때에는 def라는 예약어와 함께 함수의 이름을 선언해주면 된다 제어문과 마찬가지로 함수의 이름 끝에는 :를 붙여줘야 한다 함수는 수학적 정의의 함수와 다르게 프로그램속 함수는 기능의 집합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우리가 만들 함수들은 전부 각 기능에 걸맞는 이름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내부의 코드들 역시 우리가 원하는 기능과 부합해야만 한다. 예를 .. 2020. 9. 11.
[C] 함수의 구조와 예제 모음 수학적 정의의 함수와 코딩에서의 함수는 다른 의미라고 봐야한다 개발을 위한 함수는 Function 즉 필요한 기능의 집합이다 특히나 함수를 이용한 개발구조의 C 언어에 있어서 함수는 더욱이 큰 의미를 가진다. ​ ​ C언어 - 함수의 기초 #include int tax(int salary); // 함수선언 function(매개변수1,매개변수2...) int main() { double sal=0; //월급 공제전 수령액 double result=0; printf("월급 수령액을 입력하시오 >> "); scanf("%lf", &sal); result=tax(sal); printf("이번 달 월급 실수령액은 %.0lf원 입니다. ", result); return 0; } int tax(int salary) .. 2020. 9. 9.
[Python] - 예외처리문 try,except,finally try,except문은 예외처리의 기능을 담당한다 try문에 수행할 구문들을 넣어두고 그 외에 발생한 error와 예외경우들은 except문에서 걸러진다. ​ ​ try,except문 구조 try: a=int(input("a의 값을 입력하시오 >> ")) print(a) except: print("다른 값이 입력되었습니다") >>> 3 3 >>> anything 다른 값이 입력되었습니다 위는 try문을 이용해 기본적인 구조를 짜보았다 try문의 수행문은 무조건 실행이 되는데 int형 값을 변수 a에 받아 출력하는 프로그램이다 만약 a에 int형이 아닌 다른 형태의 값이 입력 되면 error가 발생하는데 그 error 발생시 나오는 error message를 except에서 내가 지정해줄 수 있다. 3을 .. 2020. 9. 9.
[Python] - Socket Programming 의 기초 파일 입출력 Socket programming은 파일과 네트워크를 다루는 분야이며 프로그래밍을 어느 정도 배운 후 다루게 되는 나름 고급 프로그래밍의 분야이다 대부분의 코딩 언어는 파일 입출력의 기본적인 내용을 통해 네트워크와 socket에 대해 다루는데 그 기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 ​ 파일열기 - open() f=open("C:\\test.txt","w") f.close() 파일을 여는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하다 그리고 그 어떤 언어보다 python만큼 빠르게 파일 오픈이 가능한 언어는 없을 것이다 f는 파일객체로써 열 파일이 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파일이 위치할 경로를 설정해주고 파일을 어떤 용도로 열 것인지 모드를 작성해주면 된다 read(r) 모드는 파일을 열 기만 하는 read 모드 write(w) .. 2020. 9. 8.
[Python] - 제어문 - if,while,for 반복문과 조건문 코딩을 할때 여러 기능을 제어하는 함수들을 제어문이라 하며 제어문 중에서는 반복문과 조건문이 존재한다. 그 중에서도 if는 조건을 설정하는 조건제어문 while과 for문은 반복제어문으로 반복을 제어한다 ​ ​ if 조건제어문 exercise = True if exercise == True: print('달리기를 하자') elif exercise == False: print('아무것도 안할래') else: print('걷기를 하자') >>> 달리기를 하자 #비교연산자 ''' ab a보다 b가 작을때 a==b a와 b가 같을경우 a!=b a와 b가 같지않을경우 a>=b a가 b보다 크거나 같지않을경우 a 2020. 9. 8.
[Python] -Dictionary형과 tuple 자료형의 기초적인 사용법 tuple형과 dictionary형은 각기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전에 배운 list형과 dictionary형이 각각 값의 변경이 가능한 가변형(mutable) 자료형인데 반해 tuple형은 불변형(immutable object) 객체로서 값을 변경할 수 없다 tuple형은 ()내에 선언하거나 괄호가 쳐지지 않은 상태(상수) 의 형태로 선언한다. dictionary형은 dict형, 사전자료형으로 불리우며 key값과 value로 이루어져 있는 자료형이다. {} 괄호내에 선언하며 {key1:value1, key2:value2 ...} 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 tuple 형 선언&특징 a=(1,2,3) b=1,2,3 c=('seoul','korea') del a[0] >>> TypeError : 'tup.. 2020. 9. 8.
[Python] - list 자료형에 대한 기초 Python이라는 언어의 강점은 빠르고 간편함 그 심플함에서 나오는 강력함이다 그러한 Python을 더 좋은 언어로써 기능하게 해주는 여러가지 중 하나는 list라는 자료형에도 어느 정도 지분이 있지 않을까 싶다 ​ ​ list 자료형 선언법 list1=[1,2,3,4,5] list2=['1','2','3'] list3=['seoul','busan','olsan'] list4=[[1,2],3,4] list5=[1,2,'seoul','busan'] list6=[] list는 []내에 값을 선언한다 list4와 같이 리스트 내에 리스트가 들어있는 다중 리스트의 형태도 존재하며 list5의 경우와 같이 여러 자료형이 동시에 들어가있는 형태의 list도 가능하다 list6은 공백 즉 빈 리스트이다. ​ ​ li.. 2020. 9.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