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에서 무료로 제공되는 bitburner라는 게임입니다.
게임.. 이라고 하기엔 정말 매니악한 느낌인데다가
뭐 그래픽이나 애니메이션이 덧입혀진 게임이 아닌
스크립트 코드로 진행되는 부류의 그 무언가..?
이와 비슷한 종류라고 한다면
steam에서 유료로 판매중인 Hacknet, StoneStoryRPG같은 게임이 있겠네요
예전에는 게임이라면 정해진 틀이 어느정도 있었는데
이제는 코딩이 기본 소양이 되었을정도니
이런 것들이 게임이라고 나오는것도 이해가 갑니다.
무튼 Hacknet처럼 해킹을 해나가는 게임인데
Hacknet는 스토리를 따라 직접 퀴즈에 신경을 써야하지만
bitburner에서는 자동화 스크립트를 짜준 후
이를 통해 방치해두고 stat을 강화
hack level를 각 서버 요구치에 맞춰 공격하는 게임입니다.
제가 해본 진도 까지는요
Hacknet은 딱 스크립트 키디 수준으로
각종 툴을 적재적소에 갖다 쓰고
리눅스에 대한 적당 수준의 지식만 있으면 되는데
여기서는 JavaScript에 대한 어느정도의 이해가 필요합니다.
자동화 스크립트를 짤때 JavaScript를 기반으로 코드를 짜야하기 때문인데
자세한 내용은 bitburner 공식 github를 참고하면 됩니다.
javascript는 따로 많이 배워두진 않아서 모르겠지만
적어도 이 페이지를 참고하니 이해는 다 되더라구요
게임에서 사용될 모든 함수는 NS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게임 초반에 제공되는 도움말인데
여기서는 게임 전반적인 진행 방법을 알려줍니다.
간단히 말해 hack()을 통해 해킹
grow()를 통해 서버의 돈을 증가시키며
이는 퍼센트로 유지되기 때문에 스크립트를 짤때 이 점을 참고해야 합니다.
또한 보안 레벨을 낮게 유지해야하며
getServerSecurityLevel() '보안레벨함수'
getServerMinSecurityLevel() '보안레벨 감소'
각 두 함수로 보안레벨을 관리할수 있다고 합니다.
이외에 다양한 점은 직접 게임을 하며 알아가볼수 있을거구요
stats에 해당되는 각종 수치들인데
hack과 money를 제외하고는 아직 용도를 찾지 못했습니다
help를 통해 명령어를 확인해볼수 있고
타 리눅스랑 완전히 흡사하지는 않습니다.
해킹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scan '네트워크 스캔'
scan-analyze '네트워크 스캔과 분석'
connect [server] 'server에 접속'
'여기서 home에서 server로 세션이 옮겨짐'
analyze '분석'
run NUKE.exe 'NUKE.exe 실행(root 권한 탈취)'
hack '서버 해킹'
grow 'server의 자산 증가'
weaken 'server 보안 레벨 감소
각 server마다 요구하는 hack의 레벨 수치가 다르며
다른 Port가 뚫려있어야 해킹이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여기서도 따로 해킹문제처럼 해킹을 위한 방법을 직접 시도하진 않고
처음에 주어지는 NUKE.exe를 통해 root 권한 탈취가 이루어집니다.
해킹을 위한 다른 툴들을 제작합니다.
여기에는 hack 레벨이 요구되며
이 툴들은 darkweb을 통해 돈으로 구매할수도 있습니다.
툴 제작엔 시간이 소요됩니다.
bitburner의 메뉴 UI입니다.
Factions은 그룹, 집단이라는 뜻으로
해킹을 좀 하다보니 어디 조직원들이 자기네들에 들어오라
뭐 적들이 어디있네 하는 메시지가 옵니다.
아직 해보지는 않아서 모르겠지만 이후 적을 공략에 담아보겠습니다.
hacknet nodes입니다.
뭐 비용을 투자해서 해킹을 자동화해 수익을 벌어내는 기능입니다만.
효율이 딱히 훌륭하지도 않아서
별 의미는 없습니다.
그냥 수익 자동화입니다.
게임의 주 무대인 Sector-12의 도시입니다.
하얀 알파벳을 클릭하면 해당 탭을 확인해볼수 있습니다.
예시로 foodnstuff는 해킹 대상이기도 하고
가서 직원으로 일을해서 돈을 벌수도 있습니다.
보통은 스크립트들을 굴리다 보면 RAM이 부족해지는데
이곳에서 home의 RAM을 업그레이드 하거나
RAM을 가진 서버를 추가로 구매해서 사용할수도 있습니다.
해외여행도 있던데
사실 이 용도는 잘 모르겠습니다.
Milestones 이정표라는 뜻으로
목표를 알려주는것 같은데
보상은 없습니다.
다만 CSEC의 root를 얻으라는데
CSEC이 어디있는곳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사실 게임이 한국어를 지원해주지 않아서
게임 방법은 죄다 영어라 직접 해석해야하고
API도 JavaScript 기반의 자체제작 코드라
다큐멘트를 참고해가며 해야합니다.
게임에 대한 소개는 여기까지
다음 편부터는 공략을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IT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스타그램에서 자신의 게시물 유료로 홍보하기 - 크리에이터 계정 (3) | 2023.08.22 |
---|---|
유튜브 영상 음원 저작권 걱정없이 사용하기 (0) | 2023.03.14 |
인스타그램 릴스 고화질로 업로드 하는 법 그리고 PC와 모바일의 차이점 - 모바일, 아이폰, 갤럭시 (3) | 2023.03.08 |
아이폰과 윈도우에서 양방향으로 사진,동영상,파일 옮기기 (0) | 2023.03.07 |
구글 맵 PC 버전에서 국내 지도만 위도,경도 조회 불가 이슈 (7) | 2022.11.30 |
댓글